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2)
[TIL] 24/06/27 디자인 스낵타임  A 현재 시각 밑에 다시 알림을 강조해서 현재 시간이 더 잘 보인다.알람을 중단하는 것보다 다시 알림이라는 기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해서 크기와 색상대비를 이용해 강조시킨 것 같다.B 알람을 설정하고 중단하는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해서 중단 버튼에 크기를 키우고 강조시킨 것으로 보인다.다시 알림은 부가적인 기능으로 보인다.가장 강조한 버튼이 사용자가 접근하기 가장 쉬운 위치에 있다. (피츠의 법칙, 멘탈모델 적용) 그래서 알람 중단을 빠르게 처리하기 쉽다. 회의 후 느낀점 아침에 알람이 울릴 때를 생각해 보면, 비몽사몽인 상태라 눈에 띄는 버튼을 클릭하기 쉽다. 그래서 사용자를 좀 더 화면에 집중시켜 잠을 깨기 위한 의도로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는 의견알람은 빠르게 끄기가 가능해야 한다. 팀..
[아티클스터디] 뒤로가기에도 종류가 있다 닫기와 뒤로가기, 어떻게 다를까? — 헤이딜러 UX 스터디- 뒤로가기의 종류(하이어라키 백, 히스토리백)에 대해 알아보고 - ‘닫기'와 ‘뒤로가기'를 어떤 기준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는지에 대해 공유합니다.medium.com '닫기'와 '뒤로 가기'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아티클을 읽고 간단히 인사이트를 정리해 보았다. 헤이딜러에서 정한 UX 규칙1. 먼저 페이지 간 위계를 파악해 본다.2. 그다음 어떤 back이 자연스러울지 생각해 본다.3. 두 가지의 back기능이 모두 필요하다면- 뒤로 가기 버튼을 하이어라키 백으로 두고- 히스토리 백을 다른 형태의 UI로 해결한다.  하이어라키 백: 하위개념에서 상위개념으로 돌아가는 것히스토리 백: 이전에 지나왔던 화면들을 역순 하여 차례대로 되돌아..
[TIL] 24/06/26 디자인 스낵타임 A 웹에서는 검색창이 상단에 있으니 앱에서도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A가 더 익숙할 것 같다. (제이콥의 법칙)B 사용자가 터치해야 하는 대상은 가까울수록 사용성이 좋기 때문에 B를 선택했다. (피츠의 법칙)사파리가 A→B로 바뀌었는데 처음엔 어색했지만 A를 누를 땐 상단을 클릭하기 위해서 손가락을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 익숙하다 보니 번거롭다고 인지하지 못했다. 하지만 B로 바뀌고 난 후에는 한 손으로도 움직일 수 있어 전보다 훨씬 편하다.회의 후 느낀점 아이패드도 사파리에서 검색창이 상단에 있는 것으로 봐서, 갤럭시 폴드처럼 디바이스 크기가 크고 한 손이 아닌 양손을 사용해야 될 때는 A가 편하다.B는 스크롤을 내릴 때 실수로 누를 수도 있다. 만약 실수로 주소 검..
[아티클스터디] 그래도 해지하실 거예요? 15화 10분 만에 읽는 좋은 탈퇴 UX 전략서비스 평판은 탈퇴 과정에서 정해진다? |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서 회원 탈퇴는 온보딩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사용자의 자율성을 심리 트릭으로 조정하려는 다크 패턴의 부정적 인식이 확산된 brunch.co.kr 회원 탈퇴 시 사용자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빠르게 떠나고 싶어 하고, 서비스는 탈퇴율을 최소화하며 사용자의 탈퇴 이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싶어 한다. 회원탈퇴 시 어떤 UX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좋을까? 위 아티클을 읽고 인사이트를 정리해 보았다. 다크 패턴(Dark Patterns) 이용자들이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업체가 의도한 웹이나 앱의 설계 또는 디자인 ex. '멤버십 혜택 포기하기', '불편하지만 웹으로 보기' 서비스..
[TIL] 24/06/25 디자인 스낵타임 A음식 사진을 제공해 사용자에게 메뉴를 직접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B처럼 가게 상세페이지로 들어가 메뉴를 확인하지않고 음식점 리스트에서 메뉴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B음식점 브랜드와 정보가 눈에 띄게 한다.화면에서 더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볼 수 있게 한다. 회의 후 느낀점 A가 메뉴를 크게 보여줘서 클릭을 유도하기 좋다.B는 리스트를 더 많이 보여줘야 하는 카테고리 내에서 좋다. 배달 어플에서의 음식점 리스트 제공 어떤 이유로 보여주는 형태가 다를까요? | 디자이너스배달 어플에서의 음식점 리스트 제공 어떤 이유로 보여주는 형태가 다를까요?designus.io 일일 회고 오전에 노트북 충전이 안되길래 살펴보니까 충전기가 고장 났는지 충전이 안 됐다. 고치려고 노력해 봤는데 연결 부..
[TIL] 24/06/24 디자인 스낵타임  A댓글 정렬 방법 태그칩이 눈에 잘 띈다.버튼을 누르면 정렬 방법이 바뀌어서 B보다 선택이 용이하다.댓글 타이틀 바로 밑에 태그칩이 있어 시각적 위계가 잘 드러난다.BA는 버튼을 한 번만 눌러도 되는데, B는 정렬방법을 선택하려면 리스트 선택→바텀시트로 한번 더 클릭을 해야 한다.댓글 정렬 방법을 바꾸려면 다시 리스트 선택 후 바텀시트 화면에서 클릭해야 하기 때문에 피로감이 느껴진다.  회의 후 느낀 점댓글은 스크롤을 계속 내리게 되니까 즉각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칩형태가 좋다.B는 탭을 눌러서 페이지를 선택하는 게 불편하다는 의견항목이 3가지뿐이라 굳이 바텀시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사용자가 즉각적인 소팅 액션을 원한다면 A댓글 정렬을 바꿔가며 보기보다 제시한 정렬(ex. 인기..
[디자인입문] 개인과제 회고 UX/UI 디자인 입문 강의 목표- UX/UI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제품을 체계적으로 만드는 프로세스를 배웁니다.- 제품을 논리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머릿속에 그릴 수 있고, 각 단계에 필요한 것을 스스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과제 목표- UX/UI 디자인 입문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종합적으로 활용해 제품을 논리적으로 설계하는 능력을 기릅니다.- 디자인씽킹의 5단계를 각각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디자인 원칙을 근거로 탄탄한 솔루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AEIOU 관찰법으로 음식배달/외식 서비스에 대해 찾아볼 때 어떤 주제로 자료조사를 진행해야 할지, 어떤 주제로 자료조사를 진행해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일단 외식 서비스 보다 음식 배달 어플을 더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
[아티클스터디] 레퍼런스 적용 시 주의할 점 독이 되는 레퍼런스 활용법매혹적이지만 독이 될 수 있는 레퍼런스.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을까요?toss.tech 레퍼런스를 활용한 이동수단 서비스를 개선하게 된 과정이 담긴 아티클이다. 이 아티클을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정리해 보았다.Question Every Assupmtion으로 디자인하기1. 모든 요소와 스펙에 꼭 필요한지 질문하기, 모르겠다면 유저 만나보기2. 화면에 갇히지 말고 화면을 보는 사용자의 상황 상상하기3. 매 순간 가장 중요한 건 뭘지 질문하기4. 개선한 화면 꼭 검증하기 인사이트 정리 기존에 많이 활용되는 사용자 경험을 보고 사용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고민해 보기문제 파악, 가설 만들고 검증하기, 해결하는 방안을 나눠 생각해 보기레퍼런스와 최종 디자인을 나란히 배치하고 퍼센트 같은 객..
[WIL] 24/06/21 디자인 스낵타임 A장점: 시각적 위계가 잘 표현되어있어 보기 편하고, 화면에 ‘예약 정보’ 하나의 정보값만 입력할 수 있어 의사결정 시간이 줄어든다. (힉의 법칙)텍스트의 크기 차이로 시각적 위계가 잘 표현되어있다.‘1/2단계’, ‘다음’ 버튼을 통해 다음 단계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B장점: 한 화면 안에 예약 정보, 결제 정보를 같이 기재할 수 있다.‘예약 정보’, ‘결제 정보’ 타이틀 텍스트의 크기가 좀 더 커서 시각적 위계를 나타냈으면 좋겠다. 회의 후 느낀 점A는 단계가 나뉘어 있어 피로감이 덜 느껴진다는 의견A는 단계가 많다면 수정 시 계속 뒤로 가기 버튼을 눌러야 해서 단계가 적을 때 유용할 것 같다.B는 입력해야 하는 정보가 많을 때 한눈에 볼 수 있고, 수정할 때도 편리하..
[TIL] 24/06/20 디자인 스낵타임 A남은 데이터가 0%, 100%에 가까워진다면 텍스트가 겹칠 것 같다.B한눈에 보기 좋고 깔끔하다.A와 B를 비교해 보니, 수치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때는 바 형태보다 원형이 적합한 것 같다.원형으로 수치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예로 시계가 있는데, 시계는 숫자도 같이 보여주기 때문에 원형만 봐도 대략적으로 수치를 알 수 있다.  회의 후 느낀 점B안은 남은 데이터만 보여주기 때문에 전체 데이터가 얼마인지 파악하기 어렵다.B안은 폐쇄성의 원칙이 잘 드러난다.시각적으로 수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데이터라는 속성을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한 달이 지나면 다시 충전되는 것, 잔여데이터와 사용데이터 중 어떤 것이 고객 입장에서 좋을까 등이 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