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성 테스트 (Usability Test; UT)
- 프로토타입이 있다면 제품 개발 단계 중 언제든 활용할 수 있다.
- 유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실제 사용할 때 의도한 시나리오에 따라 테스크를 수행하는지, 문제점은 없는지 관찰하기 위해 진행
- 제품 개선 전에 진행하면 유저가 불편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음
- 제품 개선 후에 진행하면 유저가 실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음
사용성 테스트 준비
- 필수 구성 요소: 진행자, 참가자, 테스크
- 진행자: 참가자 관찰, 인터뷰 / 테스크 지시
- 참가자: 피드백 진행자에게 전달 / 테스크 수행
1. 사용성 테스트 목적 설정
2. 참여자 리쿠르팅, 스크리닝
3. 테스크 선정
4. 사용성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5. 파일럿 테스트
- 공간환경은 각상황에 따라 다르게
- 참가자:유저와비슷해야됨 (ex. 출시 전: 설정한 페르소나와 최대한 부합하는 사람)
- 내부 사용성 테스트=같은팀내에서는 X (프로젝트에 대해 내부지식이 있는 구성원배제)
- 페르소나와 완전 동떨어져 있는 경우도 배제하기 (질 좋은 결과 얻기 어려움)
- 5명 테스트하면 85% 사용성문제를 발굴할 수 있다.
- 사용성테스트안내 단계에서 보안서약서 받을 수도 있음
- 테스크진행. 어떤 순서를 구성해야 할지 자연스러울지 생각해 보기
- 얼마 정도시간이 걸릴지 예측하면서 작성하기
- 테스크안내: 지시문텍스트로 줄수도 있고, 혹은 텍스트 된걸 참여자가 읽게 할 수도 있음.
- 참가자입장에서는 테스크라고하면모를수도있으니까 풀어서 쓰기.
사용성 테스트 실행 과정
- 사용성 테스트 안내
- 테스크 안내
- 테스크 수행 및 Think aloud
- 사후 인터뷰
- 마무리
Think aloud
- 생각을 시끄럽게 한다는 뜻.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 느낌, 감정, 말로 써 표현하는 방법.
Think Aloud
- 테스크 수행과 동시에 진행
- 장점: 정보를 찾고자 할 때 참가자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음
- 단점: 말과 행동을 동시에 하려다 보니 수행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음
진행자가 능숙하지 않다면 실수로 참가자에게 다음 행동을 암시하는 힌트를 줄 수 있음
Retrospective Think Aloud
- 테스크 종료 후 기억을 되살리며 진행해요.
- 장점: 테스크 수행 중에는 테스크에만 집중할 수 있음
- 단점: 이전에 한 행위를 기억 못 할 수 있음
사소한 오류에 대해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음
제이콥 닐슨의 10가지 휴리스틱 평가(10 Usability Heuristics)
- 사용성 테스트와는 달리 유저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디자이너나 사용자 경험 전문가가 특정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평가
- 디자이너나 사용자 경험 전문가가 특정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평가
- 장점: 디자인 초기 단계에서 비교적 쉽고 빠르게 적용해 볼 수 있음
- 단점: 전문가 중심의 평가이기 때문에 실제 유저의 경험을 완벽하게 대변하지는 못함
반응형
'UXUI > 강의학습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학습일지] 웹개발 종합반 1주차 강의 (0) | 2024.08.03 |
---|---|
[강의학습일지] UX기획 및 리서치 5주차 숙제 - 테스크 선정 (0) | 2024.07.14 |
[강의학습일지] UX기획 및 리서치 4주차 강의 (0) | 2024.07.11 |
[강의학습일지] UX기획 및 리서치 3주차 강의 숙제 - 유저 페르소나 (0) | 2024.07.11 |
[강의학습일지] UX기획 및 리서치 3주차 강의 (1) | 2024.07.11 |